아미(아름다운미소)
이는 RSl의 움직임이 주가와 다르게 나타나는 괴리 현상을 말합니다. RSl와 주가가 다른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면 추세전환 신호가 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지표에 추세선을 적용했을 때, 주가는 상승세로 쭉쭉 나아가고 있는데 RSl는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면 이제 주가가 하락장으로 들어갈 것이라는 신호가 됩니다. 주가는 올라가고 있는데 (higher high) RSl는 반대로 움직이는 bearish divergence가 발생할 때 주가는 하락하기 시작하죠? 반대로 주가는 내려가고 있는데 (lower 1ow) RSl는 반대로 움직이는 bullish divergence가 발생할 때 주가는 다시 상승추세로 돌야섭니다.
엑셀의 VBA 나 VBS 등, 비주얼베이직(비쥬얼베이직) 계열의 언어에서는, Chr(13)을 이용해서 긴 행을 다음줄로 줄바꿈할 수 있습니다. Chr(13) 은 엔터(Enter)키의 아스키 코드입니다. Chr(13)을 넣으면 키보드의 엔터키를 친 것과 똑같이 됩니다. Chr(13) 의 앞뒤로 & 기호를 넣어서, 앞뒤의 문자열과 연결해 주어야 합니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습니다: msgbox "첫째줄" & Chr(13) & "다음줄",vbInformation,"줄바꿈예제" 이러면 첫째줄 다음줄 이렇게 줄바꿈이 되어 나옵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sEwPs/btqzi34JOmW/4c37UZwRKFaBaWcjkl7fDk/img.png)
cmd에서 다음 명령어를 실행 shutdown /r /t 0 시작 --- 윈도우 보안 우측하단 전원버튼 오른쪽 [▲] --- [다시 시작]
숫자 ASCII코드는 48번부터 57번 입니다. Function RefNumeric(inputStr) a = inputStr result = "" For i = 1 To Len(a) checkStr = Mid(a, i, 1) If Asc(checkStr) > 47 And Asc(checkStr) < 58 Then result = result & checkStr End If Next RefNumeric = result End Function inputStr = "테 스 트12345 67890" Response.write RefNumeric(inputStr) 결과 : 1234567890
우회상장은 신규상장 요건에는 부족하지만 성장성 높은 기업에 자본조달 기회를 열어주기 위해 도입된 제도입니다. 우회상장은 비상장기업이 증권거래소나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기업과 결합을 통해 상장 심사나 공모주 청약 등 정상적인 절차를 거치지 않고 상장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자금 여유는 있으나 상장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한 장외기업이 대주주 지분율이 낮고 자금 어려움에 빠진 상장기업을 인수합병합니다. 주식을 맞교환하거나 현금으로 상장기업 지분을 인수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그러나 심사과정이 까다롭지 않다는 점을 악용해 부적격 기업들이 상장되는 문제도 있습니다.
스탑로스(Stop-loss)란? 스탑로스란 떨어질 때 손해를 보더라도 팔아 추가 하락에 따른 손실을 피하는 중요한 방법중 하니입니다. 시장의 등락폭이 커지면서 약세분위기로 전환될 때, 손해를 보더라도 청산을 하여 추가 하락에 따른 손실을 피하는 기법으로 손절매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물론 수익중에도 응용 가능한데 가격이 큰폭으로 올랐을 경우 스탑로스를 올려가면서 안전한 수익을 위하여 사용도 가능 합니다. 즉,시세보다 낮은가격에 걸어놓아 해당가격까지 떨어지면 자동으로 팔아버리는 기능을 스탑로스라 말합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azcBT/btqyK8dC02V/ZT4mWezGqQQ0stRFy0K6Nk/img.png)
pip로 설치된 package 목록을 보기 위해서는 pip에 freeze 옵션을 사용합니다. 특정 package에 대한 보다 자세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pip에 show 옵션을 사용합니다.
무선 충전의 비밀은 전자기 유도에 있습니다. 충전대 안에 있는 송신 코일이 신호를 보냅니다. 이 신호가 호환되는 스마트폰에 있는 것과 같은 수신 코일을 찾습니다. 수신 코일을 감지하면 전자기 유도가 시작됩니다. 송신 코일 내부에 있는 전자(전기)들이 코일 주변을 흐르기 시작합니다. 이로 인해 자기장이 발생되고, 이 자기장을 수신 코일 내의 전자들이 감지합니다. 수신 코일 안에 갇힌 전자들이 자기장으로 인해 코일 주위로 흐르기 시작합니다. 수신 코일 안에서 이루어지는 이 전자의 흐름이 스마트폰에 있는 배터리를 충전해주는 전기입니다.
바이러스성 출혈 돼지 전염병으로, 주로 감염된 돼지의 분비물 등에 의해 직접 전파됩니다. 돼지과에 속하는 동물에만 감염되며, 고병원성 바이러스에 감염될 경우 치사율이 거의 100%에 이르기 때문에 한번 발생하면 양돈 산업에 엄청난 피해를 끼칩니다.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는 환경에 강해서 생존력이 높은 것은 물론 전염성도 강합니다. 이 바이러스는 돼지가 죽은 후에도 혈액과 조직에서 계속 살아 있을 수 있는데, 실온의 분변이나 오줌 중에 5일 이상, 냉장상태 오줌에서는 15일까지 생존이 가능하다합니다. 또 혈액의 경우 냉장에서는 1년 반~6년, 실온에서는 1개월 생존이 가능하며 아울러 냉장육에서는 15주, 냉보관된 가염건조된 햄에서는 140일까지 생존이 가능합니다. 냉동된 사체에서는 수년 동안 생존할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