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미(아름다운미소)
type(object)은 입력값의 자료형이 무엇인지 알려주는 내장함수입니다. print type("abc") print type([ ]) print type(open("test", 'w')) 결과 :
공매도를 할 때 직전 거래가격보다 낮은 가격으로 호가를 내지 못하게 하는 규정을 말합니다. 즉 시장거래가격 밑으로 호가를 낼 수 없도록 하는 것입니다. 업틱룰은 주가를 떨어뜨리면서 주식을 팔 수 없도록 제한함으로써 공매도로 인한 주가하락을 막기위한 조치입니다. 공매도는 주가가 떨어지면 이익을 보는 투자기법으로 약세장에서는 더 큰 차익을 노리는 공매도 투자가들이 악성 루머를 퍼뜨려 주가 하락을 부추기곤 하는데요 업틱룰을 적용하면 공매도를 해도 주가를 떨어뜨리면서 주식을 팔 수 없기 때문에 추가적인 주가 하락을 막을 수 있습니다. 이 제도는 미국에서 대공황 이후 도입됐지만 금융규제 완화차원에서 2007년 7월 폐지됐다가 금융 불안이 증폭되고 감독 당국의 감독 소홀 비판 여론이 일자 2010년에 이와 유사한 ..
Tuples튜플은 리스트와 유사한 또 다른 시퀀스 데이터 형식입니다.튜플 내의 항목은 쉼표(,)로 구분하고 ( () ) 괄호 안에 포함되어 있습니다.C의 배열과 비슷하며 튜플에 속하는 모든 항목이 서로 다른 데이터 유형이 될 수 있습니다.[] [:] 을 사용하여 리스트를 액세스 할 수 있습니다.튜플의 index는 0 부터 전체 항목수에서 -1 한 것 까지 입니다.'+' 기호는 연결 연산자, '*' 기호는 반복 연산자 입니다.리스트와의 차이점은 읽기 전용입니다.
산술 연산자 (Arithmetic Operators)a = 10, b = 20, c = 3 이라 가정합니다.OperatorDescriptionExample+더하기a + b = 30-빼기a - b = -10*곱하기a * b = 200/나누기b / a = 2.0%나머지b % a = 0**제곱a ** c = 1000//몫a // c = 3
리눅스 OS(Redhat, Debian, Ubuntu 등 리눅스 기반 운영체제)가 설치된 서버에서 현재 사용 중인 메모리 사용량을 확인하고 캐시 메모리 사용량이 많은 경우 이를 비워서 시스템 효율을 높이는 방법입니다. 명령어 기반으로 터미널에서 간단히 사용할 수 있습니다. 메모리 사용량 확인 명령어 $ free -m pagecache 해제 명령어 $ /proc/sys/vm/drop_caches dentry 및 inode 캐시메모리 해제 명령어 $ /proc/sys/vm/drop_caches pagecache, dentry, inode 캐시메모리 모두 해제 시 $ /proc/sys/vm/drop_caches 크론탭(crontab)을 사용하여 시스템이 주기적으로 메모리 관리 $ crontab -e 크론탭 편..
클래스에 의해서 만들어진 객체를 인스턴스라고도 합니다.그렇다면 객체와 인스턴스의 차이는? a = Cookie() 이렇게 만들어진 a는 객체입니다. 그리고 a라는 객체는 Cookie의 인스턴가 되는겁니다. 즉, 인스턴스라는 말은 특정 객체(a)가 어떤 클래스(Cookie)의 객체인지를 관계 위주로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즉, "a는 인스턴스" 보다는 "a는 객체"라는 표현이 어울리며, "a는 Cookie의 객체" 보다는 "a는 Cookie의 인스턴스"라는 표현이 훨씬 잘 어울립니다.
QComboBox 위젯 QComboBox는 콤보박스를 위한 위젯으로 자주 사용되는 메서드로는 콤보박스에 하나의 아이템을 넣는 addItem(), 복수 컬렉션을 한꺼번에 아이템으로 넣는 addItems(), 현재 선택된 아이템의 인덱스를 리턴하는 currentIndex(), 현재 선택된 아이템의 텍스트를 리턴하는 currentText() 등이 있으며, 자주 사용되는 이벤트로는 아이템 선택이 변경되면 발생하는 currentIndexChanged 이벤트가 있습니다. cbo = QComboBox() # 콤보박스에 아이템 하나씩 넣기 cbo.addItem("item1") cbo.addItem("item2") cbo.addItem("item3") # 콤보박스에 아이템 리스트 넣기 cbo.addItems(['item..
QCheckBox 위젯 QCheckBox은 체크박스를 위한 위젯으로 자주 사용되는 메서드로는 체크박스를 체크하거나 체크를 지우는 setChecked(), 현재 체크되어 있는지를 검사하는 isChecked() 등이 있으며, 체크 상태가 변함에 따라 적절한 핸들링 코드를 넣을 수 있는 stateChanged 이벤트가 있습니다. chk = QCheckBox() # 체크하기 chk.setChecked(True) # 체크지우기 chk.setChecked(False) # 체크 상태 검사 checked = chk.isChecked() # stateChanged 이벤트 chk.stateChanged.connect(self.checkChanged)
QLabel 위젯QLabel은 텍스트나 이미지, 혹은 동영상을 표시하는데 사용됩니다. QLabel에서 자주 사용되는 메서드로는 레이블에 텍스트를 쓰는 setText(), 현재 레이블을 읽는 text() 메서드가 있는데, 특히 setText()에서는 Plain 텍스트 뿐만 아니라 HTML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굵은 문자체로 만들기 위해 아래 처럼 HTML 태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label = QLabel() # 레이블에 텍스트 쓰기 label.setText("Normal") label.setText("Bold") # 레이블에 텍스트 쓰기 s = label.text()
QLineEdit 은 한 라인을 편집할 수 텍스트박스 위젯이며, 복수 라인을 편집하기 위해서는 QTextEdit을 사용합니다. 몇가지 자주 사용되는 메서드로는 텍스트를 쓰는 setText(), 현재 텍스트를 읽는 text() 메서드, Watermark 텍스트를 표시하는 setPlaceholderText(), 에디트 내의 텍스트를 모두 선택하는 selectAll(), 읽기 전용 에디트로 만드는 setReadOnly(), 주로 암호 스타일의 에디트에 많이 사용되는 setEchoMode() 등을 들 수 있습니다. ed = QLineEdit() ed.setText("이지원") #텍스트 쓰기 text = ed.text() #텍스트 읽기 # Watermark로 텍스트 표시 ed.setPlaceholderT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