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python
- Excel
- javascript
- 맛집
- swift
- IOS
- 다이어트
- sqlite
- GIT
- node.js
- urllib
- PyQt5
- flutter
- PyQt
- port
- ASP
- 유니티
- 날짜
- pandas
- mssql
- MySQL
- Unity
- 리눅스
- MS-SQL
- 함수
- ubuntu
- 라즈베리파이
- Linux
- tensorflow
- PER
목록서버/리눅스 (57)
아미(아름다운미소)
라즈베리파이를 처음 시작하면 한글 폰트와 한글키 입력이 안돼서 많이 당황스러우실건데요^^ 영어가 익숙하지 않거나 한글키 입력이 되어야 하는 상황이라면 다음과 같이 한글 패치를 할 수 있습니다. 라즈베리파이 설정으로 들어갑니다. sudo raspi-config Localisation Option을 선택합니다. Change Locale을 선택합니다. ko_KR.UTF-8 UTF-8을 선택해줍니다. en_GB.UTF-8을 선택해줍니다. 라즈베리파이 정보 갱신 및 업그레이드를 합니다.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upgrade 한글.pkg 설치합니다. sudo apt-get install -y fonts-unfonts-core ibus ibus-hangul 한글 변환은 SHI..
리눅스 디스크 용량 확인방법 df : 디스크의 남은 용량을 확인 df -k : 키로바이트 단위로 현재 남은 용량을 확인 df -m : 메가 바이트 단위로 남은 용량은 확인 df -h : 보기 좋게해줌 df . : 현재 디렉토리가 포함된 파티션의 남은 용량을 확인 du : 현재 디렉토리에서 서브디렉토리까지의 사용량을 확인 du -a : 현재 디렉토리의 사용량을 파일단위 풀력 du -s : 총 사용량을 확인 du -h : 보기 좋게 바꿔줌 du -sh * : 한단계 서브디렉토리 기준으로 보여준다.
1. 라즈비안 root 계정 활성화 – sudo passwd root – 암호입력 2. root 권한으로 로그인- su
rm rm은 remove의 약어로서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삭제하는 명령어 입니다. 사용형식 : rm [옵션] 파일명 test 파일삭제 rm test test 파일을 삭제할때 삭제확인과정을 거치치 않으니 주의해야 합니다.rm -f test home 디렉토리를 삭제 rm -r home/ 비어있지 않은 디렉토리는 -r 옵션 없이는 삭제할 수 없습니다. rmdir 은 디렉토리를 삭제할때 사용하나 일반적으로 rm -r 을 이용한 삭제를 합니다.
1. 파일 복사cp 파일위치_및_파일이름 (한칸 띄고) 목적지_파일위치_및_파일이름예를 들어 /home/test 라는 파일을 /var/www/html/test로 옮기기 cp /home/test /var/www/html/test 2. 폴더 복사위 파일 복사라 유사한데요.옵션으로 -r 을 주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home/test라는 폴더를 /var/www/html/test로 옮기기 cp -r /home/test /var/www/html/test
SSH 로 계정 폴더내에 접속 합니다. passwd 라고 입력하고 Enter (current) Unix password :
대부분의 서버의 경우 telnet이 설치되어 있겠지만, 보안상 인터넷망도 연결되어있지 않고 telnet도 설치가 안되어있는데 포트 점검을 하고 싶은 경우 아무리 최소 설치를 하더라도 curl을 설치가 되어있을겁니다. curl의 파라메터 중 url에 telnet 스키마도 허용이 됩니다. $ curl -v telnet://192.168.0.1:port
종료 명령어명령어 기능 zz 파일을 수정했을 때 저장 후 종료 :wq 파일을 수정했을 때 저장 후 종료 :q 파일을 저장하지 않고 종료 저장 명령어 명령어 기능 :w 파일 저장 :w! 무조건 파일 저장 :30,60w newfile 30행부터 60행까지를 새파일(newfile)로 저장 :30,60w>> file 30행부터 60행까지를 지정된 파일(file)에 추가 :w %.new 현재 버퍼의 파일명을 file.new로 저장 Q VI를 종료하고, ex로 전환 :e file2 VI를 종료하지 않고 file2를 편집 :r newfile 새파일(newfile)의 내용을 현재 파일에서 읽기 :n 다음 파일을 편집 :e! 현재 파일을 마지막으로 저장한 상태로 되돌리기 :e# 파일을 번갈아 편집 :vi ex에서 VI를..
Ubuntu에 vsftpd 설치하기 - vsftpd 설치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vsftpd - 설치가 완료후 기본 설정파일을 백업합니다. $ sudo cp /etc/vsftpd.conf /etc/vsftpd.conf.orig - ufw를 이용한 방화벽을 설정합니다. $ sudo apt-get install ufw - ufw를 설치하고, FTP port를 허용합니다. $ sudo ufw allow 20/tcp $ sudo ufw allow 21/tcp $ sudo ufw enable - 결과를 확인합니다. $ sudo ufw status verbose Status: active To Action From -- ------ ---- 20/tcp 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