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python
- PyQt5
- MySQL
- ASP
- sqlite
- mssql
- tensorflow
- PER
- 함수
- Linux
- ubuntu
- node.js
- pandas
- flutter
- swift
- IOS
- MS-SQL
- Excel
- 라즈베리파이
- 리눅스
- Unity
- 유니티
- javascript
- 날짜
- port
- urllib
- 맛집
- PyQt
- 다이어트
- GIT
목록서버/리눅스 (57)
아미(아름다운미소)
우분투 하드웨어 정보 보기 [설치] $ apt-get install lshw [실행] 매우 상세한 하드웨어 정보 $ lshw 만약 콘솔에서 뿐 아니라, html로 전체적으로 보고 싶은 경우 아래와 같이 경로를 지정해 주고 파일 이름을 지정해 주면 된다. (현재, home 폴더에 lshw.html 파일 이름으로 하드웨어 정보를 저장) - 웹으로 보기lshw -html > /home/lshw.html
우분투 버전 간단히 커맨드라인에서 우분투 버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첫번째 방법 $ cat /etc/issue Ubuntu 10.10 \n \l - 두번째 방법 $ lsb_release -a No LSB modules are available. Distributor ID: Ubuntu Description: Ubuntu 10.10 Release: 10.10 Codename: maverick 와 같이 간단히 우분투의 버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ssh 자동 로그인 Linux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ssh를 이용하며 비번이 필요 합니다. ssh 공개키를 서버에 간단하게 배포하고 비번없이 접속하는 방법을 확인해 봅시다. 우선 접속하려는 클라이언트 Linux에 sshpass를 설치합니다. $ sudo apt-get install sshpass 그리고 클라이언트 Linux에 ssh 키를 생성합니다. $ ssh-keygen 그리면 .ssh/ 경로에 id_rsa id_rsa.pub 두 개의 파일이 생성됩니다. .ssh/id_rsa 파일은 개인키 파일이고 .ssh/id_rsa.pub 파일은 공개키 파일입니다. 이제 sshpass를 이용해 서버 Linux에 접속해 봅니다. $ sshpass -p "pw123456" ssh macaron@192.168.0.3..
우분투 서버 하드웨어 정보 확인 윈도우즈는 내컴퓨터를 통해서, 또는 다이렉트엑스 진단도구 등을 통해 하드웨어 사양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리눅스에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가 있는데, 한번 알아 보겠습니다. 서버 비트를 확인 arch $ arch $ x86_64 관련 드라이버를 설치하거나, 프로그램을 설치 할때, 비트는 매우 중요하다. 열심히 받았는데, 설치 하려고 하면, 설치를 할 수 없다고 할테니 말입니다. 내가 관리하는 리눅스의 경우 x86의 64비트라고 알려 줍니다. CPU의 코어수 확인 $ grep -c processor /proc/cpuinfo $ 4 확인해 보니, 코어가 4개 라고 나옵니다. Memory 용량 확인 dmidecode -t memory $ dmidecode -t memor..
1. Repository 추가 PLEX 패키지를 제공해 줄 Repository를 추가 합니다. $ echo "deb https://dev2day.de/pms/ jessie main" | sudo tee /etc/apt/sources.list.d/pms.list https용 키 추가 $ wget -O - https://dev2day.de/pms/dev2day-pms.gpg.key | sudo apt-key add - apt update $ sudo apt-get update 2. PLEX 설치 $ sudo apt-get install plexmediaserver -y 접속해봅니다. (IP 에 32400 포트를 주면 끝~) 간단하죠^^ http://192.168.0.3:32400/web
- 펌웨어 및 커널 업데이트 #----------------------------------------------- #펌웨어 업데이트 #----------------------------------------------- $ sudo rpi-update #----------------------------------------------- #----------------------------------------------- #커널을 업데이트 #----------------------------------------------- $ sudo apt-get upgrade #----------------------------------------------- #--------------------------..
트랜스미션은 리눅스계의 비트토렌트 입니다. 트랜스미션은 우분투의 버젼에 따라서 기본으로 설치가 되어있을수도 있습니다. 그중에 하나인 Transmission-daemon은 사실은 클라이언트지만, WEB-Interface를 지원하여 웹브라이져를 통한 원격으로 조종이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어 NAS나 서버에 적합합니다. apt를 이용해서 간단히 설치합니다. $sudo apt-get install transmission-daemon 기본적으로 설정은 /etc/transmission-daemon/settings.json 파일을 이용합니다. 여러가지 설정이 가능합니다. 포트번호나 계정과 비밀번호, 연결수등을 설정할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복잡한 설정보다 기본적으로 사용이 필요한 설정들을 말씀 드리겠습니다. 아래는 ..
- ownCloud 다운로드 설치(최신버전 다운로드) sudo wget https://download.owncloud.org/community/owncloud-latest.tar.bz2 - 압축해제 sudo tar -xjf owncloud-latest.tar.bz2 - ownCloud 소스파일를 원하는 디렉토리로 이동 sudo mv owncloud /home/pi/WWW - 소유권 조정sudo chown -R www-data:www-data owncloud - 해당 라이브러리 설치 GD라이브러리 설치 sudo apt-get install php5-gd - curl설치 sudo apt-get install php5-curl - Apache 모듈 활성화 sudo a2enmod rewrite sudo a2en..
- PHP 설치 sudo apt-get install php5 libapache2-mod-php5 -y - PHP short_open_tag 허용 [root@todaymart ~]# sudo cp /etc/php5/apache2/php.ini /etc/php5/apache2/php.ini.old [root@todaymart ~]# sudo sed -i "s/short_open_tag = Off/short_open_tag = On/g" /etc/php5/apache2/php.ini [root@todaymart ~]# sudo diff /etc/php5/apache2/php.ini.old /etc/php5/apache2/php.ini - mysql_connect 사용을 위해서 sudo apt-get inst..
- 포트추가변경 $sudo nano /etc/apache2/ports.conf # If you just change the port or add more ports here, you will likely also # have to change the VirtualHost statement in # /etc/apache2/sites-enabled/000-default.conf Listen 8888 Listen 9999 Listen 443 Listen 443 # vim: syntax=apache ts=4 sw=4 sts=4 sr noet